면목동 다가구주택 리모델링
페이지 정보
본문
주택(특히 아파트)은 성격상으로 보면 사회주의에서 인민의 평등한 주거 복지를 위한 주택 정책에 가깝다. 공동 주택은 표면적으로는 거주자의 사회적 신분이나 부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아 사회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사회주의에서 평등한 사회 이념에 적합한 주거 형태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아파트 문화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은 프랑스의 여류 학자 ‘발레리 줄레조’의 저서 <아파트 공화국>은 우리나라 도시 주거 형태는 급조한 성격이 짙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 사회주의적 성격이 짙은 아파트가 대한민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렇게 성장한 것이 놀라웠던 모양이다. 프랑스에서 실패한 주거 모델인 아파트가 어떻게 한국에서 대표적인 주거 모델이 되었는지 외국인이 연구한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지만 문화가 다른 시선의 날 선 비판은 참고할 만하다.
오래전에 중국 북경의 신축 아파트에서 지내본 경험이 있다. 옆집들과 교류하면서 아파트의 형태는 같지만 인테리어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건설사에서는 건축만 완성하고 인테리어는 입주자가 자신의 니즈에 맞게 결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사회주의적 성격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자본주의가 존재하고 있었다. 즉, 자본주의 성격의 주거 모델인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건설사들은 아파트 형태도 같지만 인테리어 까지도 모두 똑같이 한다. 이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주의 성격의 주거 모델인 셈이다.
이제 우리나라 아파트 문제는 건설사에서 두 개의 밥그릇 중 하나를 내려놓아야 한다. 건설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탄탄한 기술과 전문성으로 견고하고 완성도 높은 건축을, 인테리어 회사는 나름의 창의적 디자인으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나라 신축 아파트 리모델링 비율이 40%에 육박한다는 것은 지구적, 사회적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임계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자본주의 성격에도 맞고 세계융합시대에도 부응하는 건설과 인테리어를 분리하는 현실적 대안을 더는 미루어서 안 될 일이며 건설사들 또한 과거에 정부와 결탁했다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유니브원 대표 실내건축가 노현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